빛이 있으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빛이 있으라"는 《창세기》 1장 3절의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이 구절은 하느님이 빛을 창조하는 과정을 묘사하며,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로 번역된다. 원어인 히브리어 "יְהִי אוֹר" (예히 오르)는 "존재하다"와 "빛"을 의미하는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언어와 성경 번역본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다. 킹 제임스 성경에서는 "And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로, 라틴어 불가타에서는 "fiat lux"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세기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창세기 - 므두셀라
므두셀라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과 노아 사이의 족장으로, 성경에서 가장 장수한 인물(969세)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종교 문헌과 현대 문화에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빛이 있으라 | |
---|---|
기본 정보 | |
성경 구절 | 창세기 1장 3절 |
히브리어 | יְהִי אוֹר |
그리스어 | γενηθήτω φῶς |
라틴어 | fiat lux |
라틴어 (다른 표현) | lux sit |
![]() |
2. 창세기 1장 3절
창세기 1장 3절은 하느님이 "빛이 있으라"라고 말씀하시자 빛이 생겨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구절은 킹 제임스 성경 등 다양한 번역본에 나타난다.
2. 1. 원문 및 번역
창세기 1장 3절의 원문은 히브리어로 "יְהִי אוֹר"(예히 오르)이며, "빛이 있으라"는 의미이다.[1] 'יְהִי'(예히)는 '존재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3인칭 남성 단수 형태의 단어이며, 'אוֹר'(오르)는 빛을 의미한다.칠십인역에서는 이 구절이 "καὶ εἶπεν ὁ Θεός '''γενηθήτω φῶς''' καὶ ἐγένετο φῶςgrc|kaì eîpen ho Theós '''genēthḗtō phôs''' kaì egéneto phôs"로 번역되었다. ''Γενηθήτω''는 "존재하게 되다"를 뜻하는 ''γίγνομαι''의 명령법 형태이다.
베투스 라티나에서 사용된 그리스어 번역의 원래 라틴어 표기는 '''lux sit'''("빛이 있으라" 또는 "빛이 존재하라")였다.[1]
2. 1. 1. 한국어 번역
창세기 1장 3절에는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1]라는 구절이 나온다.2. 1. 2. 영어 번역
킹 제임스 성경에서는 "And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로 번역된다.And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하나님이 가라사대 빛이 있으라 하시매 빛이 있었고영어
2. 1. 3. 라틴어 번역
불가타에서는 "fiat lux"로 번역되며, 이는 "빛이 만들어지게 하라"는 의미이다.3. 어원
구약 히브리어에서 יְהִי אוֹר|예히 오르he는 두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יְהִי|예히he는 "존재하다"의 남성 단수 명령법 형태이고 אוֹר|오르he는 빛을 의미한다.[1]
고대 그리스어 칠십인역에서는 이 구절이 "καὶ εἶπεν ὁ Θεός '''γενηθήτω φῶς''' καὶ ἐγένετο φῶς|카이 에이펜 호 테오스 '''게네데토 포스''' 카이 에게네토 포스grc"로 번역되었다. ''Γενηθήτω''(게네데토)는 "존재하게 되다"를 뜻하는 ''γίγνομαι''(기그노마이)의 명령법 형태이다.
불가타에서는 히브리어 구절 יְהִי אוֹר|예히 오르he이 라틴어로 '''fiat lux'''(피아트 룩스)로 번역되었다. 문맥상 번역은 "dixitque Deus '''fiat lux''' et facta est lux|딕시트케 데우스 '''피아트 룩스''' 에트 팍타 에스트 룩스la"("그리고 하나님이 말씀하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더라")이다. 문자 그대로 ''fiat lux''는 "빛이 만들어지라"로 번역될 수 있다 (''fiat''는 "하다" 또는 "만들다"를 의미하는 동사 ''facio''[2]의 3인칭 단수 현재 수동태 접속법 형태이다).
참조
[1]
뉴스
But What Does It Mean?
http://www.dailyuw.c[...]
University of Washington
1999-05-25
[2]
웹사이트
Verbix, verb conjugator
http://www.verbix.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